Ⅰ. 서 론
현재 사용 또는 개발 중인 RNSS (Radio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지상 약 20,000km의 MEO(Medium Earth Orbit) 이상의 궤도를 공전하는 측위 위성을 사용하고 있다. MEO 이상의 궤도를 공전하는 측위 위성을 사용하는 경우, 약 24개 이상의 위성을 적절하게 배치하면 지구상 대부분의 위치에서 최소 4개 이상의 측위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약 20,000km 상공에서 송신한 신호는 지표면에 매우 미약한 수준으로 도달하기 때문에 도심, 건물 내 창가 등에서는 RNSS 신호를 수신하기 매우 어렵다[1-3].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시스템은 [1]과 [2]와 같은 LEO-PNT (Low Earth Orbit - 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시스템이다. LEO-PNT 시스템은 약 2,000km 상공을 공전하는 저궤도 위성을 활용하는 전파 측위 시스템으로 지표면으로부터 측위 위성까지의 거리가 MEO 위성과 비교해 1/10로 가까워서 같은 세기로 측위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약 30dB 강한 신호를 지표면에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LEO-PNT 위성은 공전 속도가 매우 빠르고, 단일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 좁아 약 350개 내외의 위성을 적절한 궤도로 배치해야 전지구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LEO-PNT 위성은 필요 위성 수가 RDSS와 비교해 약 10 - 15배 정도 많아서 RDSS처럼 PNT만을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상업성 등을 고려하여 광대역 통신용으로도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가운데 하나는 [3]의 OFDM-BOC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Binary Offset Carrier) 신호이다. OFDM-BOC 신호는 광대역 통신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OFDM 시스템과 RDSS에서 주파수 대역 효율과 부호 추적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BOC 변조 기법을 함께 적용한 신호이다. OFDM-BOC 신호는 10개 이상의 BOC 신호를 합성해 구성하는 경우, 확산 부호 신호의 상관 함수(correlation function)의 모호성(ambiguity)이 상당히 개선된다[4]. 그러나 이보다 낮은 수의 BOC 신호를 합성해 OFDM-BOC 신호를 구성하는 경우, 상관 함수의 모호성이 높다. BOC 신호의 상관 함수는 주첨두(main-peak)와 함께 여러 부첨두(side-peak)가 나타나는데, 확산 부호 획득(spreadingcode acquisition) 과정에서 부첨두를 잘못 검출(mis-detection)하거나 확산 부호추적(spreading codetracking) 과정에서 부첨두로 인해잘못된부호동기시점으로 부호 동기를 오결정(false locking)할수있으며, 이를 BOC 신호의 모호성 문제라고한다[4].
BOC 신호의 모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5]-[16]처럼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이 방법들은 1) 유사 BPSK 방법 (Binary Phase Shift Keying-like method)[5,6], 2) 부첨두 검출 후 모호성 회피 방법(ambiguityavoidance detection method)[7-9], 3) 부첨두 제거 방법(side-peak cancellation method)[10-16], 이상 3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4]. 1) 유사 BPSK 방법은 수신 국소 부호(local code)로 BPSK 변조된 신호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관 함수의 한 칩(chip) 이내에 단일 주첨두만 나타난다. 하지만 BOC 신호의 상관 함수처럼 폭이 좁은 주첨두를 사용할 수 없어 확산 부호 추적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없다. 2) 부첨두 검출 후 모호성 회피 방법은 5개 이상의 서로 다른 부호 위상을 갖는 많은 상관기를 사용해 BOC 상관 함수를 관찰하고, 부첨두를 검출하여 모호성을 회피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6]에서 제안한 BJ (Bump-Jump) 방법이다. BJ 방법은 다중 상관기로 BOC 상관 함수를 관찰하고, 현재 추적하는 부호 동기 시점이 오결정될 것으로 판단(bump)되면 다른 상관기가 추적하는 부호 동기로 도약(jump)해 모호성을 회피한다. [7]의 DET (DoubleEstimation Technique) 방법과 [8]의 DDPE(Dual sidebands Double Phase Estimator)도 이와 유사하게 오결정 여부 판정 후, 적절한 부호 동기 시점으로 추적 중인 부호 동기 시점을 변경하여 모호성을 회피한다. 이 방법은 오결정을 판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검출기가 필요하고, 도약 후 정상적인 부호 동기 추적을 위한 충분한 회복 시간(recovery time)이 필요하다. 3) 부첨두 제거 방법은 부첨두를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국소 보조 신호(local auxiliary signal)를 활용해 상관 함수에서 주첨두만을 남겨두는 신호처리 기법이다. 이 방법은 부첨두 검출 후 모호성 회피 방법과 비교해 긴 회복 시간 없이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대표적인 부첨두 제거 방법 가운데 하나는 [10]의 ASPeCT (Autocorrelation Side-Peak Cancellation Technique)이다. 하지만 ASPeCT는 매우 한정적인 일부 BOC 신호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부첨두를 완벽히 제거하지 못한다. 이후 다양한 BOC 신호가 제안되면서 [11-16]과 같은 여러 BOC 신호에 적합한 부첨두 제거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3]에서 제안된 OFDM-BOC 신호는 최근에 제안된 신호라서 적합한 부첨두 제거 방법이 연구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2장에서 OFDM-BOC 신호 상관 함수의 부첨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OFDM-BOC 신호를 분석하고, 기존 부첨두 제거 방법을 참고하여 OFDM-BOC 신호에 적합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설계한다. 그리고 3장에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고, 4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Ⅱ. OFDM-BOC 신호와 비모호 상관 함수 설계
이번 장에서는 [3]에서 제안한 OFDM-BOC 신호 모형을 다시 정리하고, OFDM-BOC 신호 상관 함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OFDM-BOC(8:4:4,2) 신호에 적합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설계한다.
[3]에서 제안한 OFDM-BOC([TeX:] $$\alpha_K: \alpha_d: \alpha_1, \beta$$) 신호 모형은 식 (1)과 같다. 여기서 [TeX:] $$\alpha_K=f_K / f_0, \alpha_d=f_d / f_0, \alpha_1=f_1 / f_0, \beta=f_C / f_0, K$$는 부반송파(sub-carrier)의 수, [TeX:] $$f_K$$는 최대 주파수, [TeX:] $$f_d$$는 주파수 간격(frequency interval), [TeX:] $$f_1$$는 최소 주파수, [TeX:] $$f_0$$는 1.023 MHz의 참조 주파수(reference frequency), [TeX:] $$f_C$$는 반송파 주파수 (carrier frequency)이다.
여기서, [TeX:] $$s_{c,i}(t)$$와 [TeX:] $$s_{s,i}(t)$$는 각각 여현(cosine) 및 정현(sine) BOC 변조된 신호, [TeX:] $$a_i(k)$$와 [TeX:] $$b_i(k)$$는 동위상(in-phase) 및 직교위상(quadrature)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TeX:] $$a_i(k) \in\{ \pm 1\}, \quad b_i(k) \in\{ \pm 1\}$$인 항법 데이터, [TeX:] $$sc_{c,i}(t)$$와 sc_{s,i}(t)는 각각 식 (2)와 식 (3)과 같은 여현 및 정현 BOC 부반송파, [TeX:] $$T_C=\left[\beta \times f_0\right]^{-1}$$인 확산 부호 칩 지속 시간(spreading code chip duration)이다.
여기서, sign(·)는 인자의 부호 출력 함수(signum function), [TeX:] $$f_{S, i}=\left[\alpha_1+(i-1) \times \alpha_d\right] \times f_0, i=1,2, \ldots, K-1$$이다.
수신기의 동기(coherent) 상관값은 식 (4)와 같다.
여기서, [TeX:] $$\tau$$는 부호 동기 위상차, [TeX:] $$T_S$$는 확산 부호 주기, [TeX:] $$s_L(t)$$는 국소 신호(locally generated signal)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호성 개선을 위한 부첨두 제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열 잡음은 고려하지 않는다.
여러 BOC 신호의 상관 함수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에서 흑색 점선은 BPSK(1) 신호의 상관 함수, 흑색 실선과 쇄선은 각각 정현 및 여현 BOC(1,1) 신호의 상관 함수, 청색 실선과 쇄선은 각각 정현 및 여현 BOC(4,2) 신호의 상관 함수, 분홍색 실선과 쇄선은 각각 정현 및 여현 BOC(8,2) 신호의 상관 함수이다. OFDM-BOC(8:4:4,2) 신호는 정현 및 여현 BOC(4,2) 신호와 BOC(8,2) 신호, 이상 4개의 신호를 결합한 신호이며, 그 상관 함수는 그림 1에서 굵은 흑색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BOC 신호는 BOC([TeX:] $$\alpha, \beta$$)로 표현되며, 여기서 [TeX:] $$\alpha=f_{sc}/f_0,f_SC$$는 부반송파 주파수이다. 본 논문에서 여현 및 정현 BOC 신호는 각각 [TeX:] $$BOCC_C (\alpha, \beta)$$ 및 [TeX:] $$BOC_S (\alpha, \beta)$$로 표시한다. [15]처럼 BOC 신호는 부반송파 변조 차수(sub-carrier modulation order)[TeX:] $$M=2\alpha / \beta$$이며, BOC 신호의 상관 함수는 1개의 주첨두와 [TeX:] $$2(M-1)$$개의 부첨두을 갖는다. BOC 신호를 EML-DLL (Early-Minus-Late Delay Locked Loop)을 사용해 부호 동기를 추적하는 경우, 상관 함수에 [TeX:] $$2(M-1)$$개의 오결정점(false-lock point)이 나타난다. [TeX:] $$BOC_S(1,1)$$과 [TeX:] $$BOC_C(1,1)$$ 신호는 [TeX:] $$M=2$$이며, 그림 1의 흑색 실선 및 쇄선과 같이 [TeX:] $$\pm T_C/2$$에서 총 2개의 부첨두를 갖는다. [TeX:] $$BOC_S(4,2)$$와 [TeX:] $$BOC_C(4,2)$$ 신호는 [TeX:] $$M=4$$이며, 그림 1의 청색 실선 및 쇄선과 같이 [TeX:] $$\pmT_C4, \pm 2T_C/4, \pm 3T_C/4$$에서 총 6개의 부첨두를 갖는다. [TeX:] $$BOC_S(8,2)$$와 [TeX:] $$BOC_C(8,2)$$ 신호는 [TeX:] $$M=8$$이며, 그림 1의 청색 실선 및 쇄선과 같이 [TeX:] $$\pm kT_C/M, k=1,2 \ldots,(M-1)$$에서 총 14개의 부첨두를 갖는다. OFDM-BOC(8:4:4,2) 신호의 상관함수는 그림 1의 굵은 흑색 일점쇄선과 같으며, [TeX:] $$\pm kT_C/M, k=1,2 \ldots,(M-1)$$에서 총 14개의 부첨두를 갖는다.
여러 BOC 신호의 상관 함수 (Correlation functions of several BOC signals)
BOC 신호처럼 BPSK 신호도 반송파 주파수와 참조 주파수의 비를 인자로 하여 BPSK(1)처럼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OFDM-BOC(8:4:4,2) 신호의 상관 함수를 분석하기 위해 그림 2처럼 +1과 –1에 대한 연속 시간 펄스 신호에 대한 다양한 신호 파형을 정리하였다. 그림 2(a)는 BPSK(1) 변조된 신호, 그림 2(b)-(d)는 각각 정현 및 여현 BOC(1,1), BOC(4,2), BOC(8,2) 변조된 신호이다. 이 가운데 OFDM-BOC(8:4:4,2) 신호에 사용되는 신호는 그림 2(c)와 그림 2(d)와 같다. 그림 2(c)와 그림 2(d)에서 가장 폭이 좁은 신호는 그림 2(d)의 여현 BOC 신호인 [TeX:] $$BOC_C(8,2)$$ 신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고려해 그림 2(e)와 같은 [TeX:] $$BOC_C(8,2)$$ 신호의 첫째 펄스와 같은 첫째 기저 신호(basis signal)와 마지막 펄스와 같은 [TeX:] $$\alpha_K$$째 기저 신호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기저 신호를 식 (1)의 [TeX:] $$s_{c,i}(t)$$와 [TeX:] $$s_{s,i}(t)$$ 대신 사용한 국소 신호 [TeX:] $$s_L(t)$$를 적용한 상관 함수를 [TeX:] $$R_1(\tau), \alpha_K$$째 기저 신호를 적용한 상관 함수를 [TeX:] $$R_K(\tau)$$로 적는다. 기저 신호를 국소 신호로 사용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다음 식(5)와 같다.
+1과 -1에 대한 연속 시간 펄스 신호: (a) BPSK(1) 신호, (b) BOC(1,1) 신호, (c) BOC(4,2) 신호, (d) BOC(8,2) 신호, (e) 제안한 기저 신호 (Continuous-time pulse signals for +1 and -1: (a) BPSK(1), (b) BOC(1,1), (c) BOC(4,2), (d) BOC(8,2), and(e) proposed basis signals)
식 (5)의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의 세부 생성 과정은 그림 3과 같다. 그림 3(b)에서 흑색 실선은 식(5)의 첫째 항과 둘째 항을 더한 값인 [TeX:] $$|R_1(\tau)|+|R_K(\tau)|$$값이며, 적색 쇄선은 식 (5)의 셋째 항인 [TeX:] $$-|R_1(tau)-R_K(\tau)|$$ 값이다. 그림 3(a)는 [TeX:] $$\pm0.1T_C$$를 확대한 결과이다. 그림 3(a)와 그림 3(b)처럼 부호 동기 시점인 부호 지연(code delay) 0 부근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그 값이 반전되어 있어 이를 더하면 부첨두를 형성하는 값들이 서로 상쇄된다. 식(5)를 적용한 최종적인 비모호 상관 함수는 그림 3(c)와 같이 [TeX:] $$\pm T_C/16$$ 이내에서만 하나의 주첨두를 갖는다. BPSK(1) 신호와 OFDM-BOC(8:4:4,2) 신호의 상관 함수, 그리고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4처럼 OFDM-BOC(8:4:4,2) 신호의 상관 함수는 모호성이 상당히 높다. 하지만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단일 주첨두만 가지며, 그 폭 또한 OFDM-BOC(8:4:4,2) 신호 상관 함수 주첨두의 절반이다. 이는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국소 신호에서 OFDM-BOC(8:4:4,2) 신호에 포함된 여러 신호 가운데 가장 신호 펄스폭이 좁은 BOCC(8,2) 신호를 기반으로 기저 신호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OFDM-BOC(8:4:2,2) 신호를 위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의 생성 과정: (a) [TeX:] $$\pm 0.1 T_C$$ 이내 영역에서 확대한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와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 신호 개형, (b)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와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 신호 개형, (c)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 (Generation process of the proposed unambiguous correlation function for OFDM-BOC(8:4:2,2) signal: (a)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and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 signal shapes zoomed in the [TeX:] $$\pm 0.1 T_C$$, (b)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and [TeX:] $$-\left|R_1(\tau)\right|+\left|R_k(\tau)\right|$$ signal shapes, and (c) the proposed unambiguous correlation function)
BPSK(1)과 OFDM-BOC(8:4:4,2)의상관함수, 그리고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 (Correlation function of BPSK(1) and OFDM-BOC(8:4:4,2), and the proposed unambiguous correlation function)
Ⅲ. 모의실험및분석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2선(2-ray) 다중경로 환경에서 모의실험을 통해 여러 신호와 제안한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spreading code tracking bias)와 그 유동 평균(running average)을 보인다. 고려한 2선 다중경로 환경은 하나의 가시 신호(line-of-sight signal)와 하나의 다중경로 신호만 수신되는 채널 환경으로 주요 매개 변수는 가시 신호와 다중경로 신호의 전력비와 위상차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 신호 대비 다중경로 신호의 전력비는 -3dB로 설정하고, 서로의 위상차는 동위상(in-phase) 및 역위상(out-of-phase)인 경우만 고려한다. 구체적인 성능 분석을 위해 확산 부호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L1 C/A (Coarse/Acquisition) 부호를 사용했다. GPS L1 C/A 부호의 길이는 1,023칩이며, 칩 율(chip rate)은 1.023 MHz이다. 다중경로 오차와 그 유동 평균을 실제 거리로 비교하기 위해 광속(light speed)은 299,792,458m/s으로 적용하고, 이른-늦은 상관 간격이 [TeX:] $$T_C/16$$ 칩인 동기(coherent) EML-DLL을 고려하였다. 이상의 설정을 고려한 동위상 및 역위상인 2선 다중경로 환경에서 여러 신호와 제안한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와 그 유동 평균은 각각 그림 5와 그림 6, 그리고 그림7과 같다.
그림 5와 그림 6에서 BPSK(1), [TeX:] $$BOC_S(1,1), BOC_C(1,1)$$ 신호의 최대(또는 최소) 부호 동기 추적 편이는 약 4.5789m이다. OFDM-BOC(8:4:4,2) 신호는 이보다 다소 낮은 약 4.4814m이다. 끝으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사용했을 때는 약 3.0546m이며, OFDM-BOC(8:4:4,2) 신호보다 약 68.16% 낮다. 또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TeX:] $$T_C/16$$이하의 최근접 다중경로 지연 환경에서만 부호 동기 추적 편이가 나타나지만, 다른 신호들은 한 칩 이내의 다중경로 지연 환경 대부분에서 부호 동기 추적 편이가 나타난다. 수신기의 부호 동기 추적을 위한 EML-DLL은 부호 동기를 결정(locking)한 이후에도 부호 동기를 세부 추적하는 것을 고려한 성능 지표는 그림 7과 같은 부호 동기 추적 편이의 유동 평균이다. OFDM-BOC(8:4:4,2)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의 최대 유동 평균은 약 2.9551m이며, 제안한 기법은 약 1.5273m로 OFDM-BOC(8:4:4,2)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의 최대 유동 평균 대비 약 51.68% 수준이다. 다중경로 지연이 약 [TeX:] $$1.5T_C$$ 이하일 때, OFDM-BOC(8:4:4,2)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의 유동 평균 면적 대비 제안한 신호의 유동 평균 면적비는 약 33.86%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사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부호 동기를 추적할 수 있다.
동위상(in-phase)인 2선 다중경로 환경에서 여러 신호와 제안한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 (Code tracking biases of multiple signals and the proposed signal in an in-phase 2-ray multipath environment)
역위상(out-of-phase)인 2선 다중경로 환경에서 여러 신호와 제안한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 (Code tracking biases of multiple signals and the proposed signal in an out-of-phase 2-ray multipath environment)
2선 다중경로 환경에서 여러 신호와 제안한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편이의 유동 평균 (Running average of code tracking biases of multiple signals and the proposed signal in a 2-ray multipath environment)
Ⅳ. 결론
본 논문에서는 OFDM-BOC(8:4:4,2) 신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OFDM-BOC(8:4:4,2) 신호를 위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제안하고, 부호 동기 추적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제안한 OFDM-BOC 신호를 위한 비모호 상관 함수는 [TeX:] $$BOC_C(8,2)$$ 신호의 최소 펄스폭과 같은 폭을 갖는 2개의 기저 신호를 조합하여 구성하였으며, 설계한 신호의 상관 함수는 OFDM-BOC(8:4:4,2) 신호의 상관 함수 주첨두 폭의 절반의 폭을 갖는 주첨두만 갖는다. OFDM-BOC(8:4:4,2) 신호의 상관 함수가 12개의 오결정점를 갖는 것과 비교해 설계한 신호의 상관 함수는 전혀 오결정점을 갖지 않으며, 대표적인 2선 다중경로 신호 수신 환경에서 OFDM-BOC(8:4:4,2) 신호의 부호 동기 추적 오차가 약 4.4814m인 반면 제안한 기법은 약 3.0546m로 OFDM-BOC(8:4:4,2) 신호보다 약 68.16% 낮고, 부호 동기 추적 오차의 유동 평균의 최고값은 약 51.68%, 평균 면적비는 약 33.86% 낮다. 따라서 제안한 비모호 상관 함수를 사용하면 OFDM-BOC(8:4:4,2) 신호의 부호 동기를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다만, 사용한 기저 함수의 폭은 각각 상관 함수의 [TeX:] $$T_C/16$$로서 2개의 기저 함수를 사용하여 비모호 상관 함수를 구현하므로 상관 전력의 1/8만 사용한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열 잡음에 대한 강인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부호 동기 추적을 위한 모호성 개선 및 다중경로 완화 성능에만 초점을 맞춰 이에 적합한 2선 다중경로 환경에서만 성능을 분석하였다. 추후에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법 및 Rician 채널 모형 및 LMSS (Land Mobile Satellite System) 채널 모형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