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 1226 - 4717 / eISSN : 2287 - 3880
발행기관 : 한국통신학회
발행기관 :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 논문지는 1976년부터 발행되고 있으며, 정보통신 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국문/영문 혼용 논문지입니다. 정보, 통신, 네트워크 및 융합 기술에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전문 학술지로 정보, 통신, 네트워크 및 융합 기술에 관련된 새로운 개념, 이론, 기술과 응용까지 논문에서 다루는 주제에 따라 일반논문(Part A (AI for ICT Applications), Part B (Communications Systems), Part C (Networks and Computings), Part D (Services Applications and Emerging Topics), Part E (ICT Convergence), Part F (System Implementation)), 특집논문으로 분류하여 연간 400여 편의 논문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우수논문 (48권 11호, 11월 2023)
BLE 애드혹 망을 통한 편대비행 구현이상연 전지훈 이강복 |
|
무인 이동체을 이용한 드론이나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통신 인프라가 설치되어있지 않거나 파괴된 재난 안전과 군사 분야에서 편대 및 군집 비행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편대 및 군집 비행으로 인명 탐색 또는 정찰 같은 임무를 한정된 자원을 가진 무인 이동체 간의 협력으로 더 넓은 지역을 탐색하거나짧은 시간 내에 임무를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신 인프라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지역 또는 통신 인프라가파괴된 재난 상황에... | |
음원 분리 및 자동 채보 학습을 활용한 음악 유사성 분석 시스템 구현구연우 이재호 |
|
기존의 음악 유사성 분석 방식은 보편적으로 모든 악기와 오디오 채널이 포함된 혼합 음악 데이터를 기반으로진행되는 특성이 있기에, 템포가 빠른 댄스 장르의 음악을 느리게 편곡하여 발라드 장르로 변경하는 등 원곡에서의 장르 혹은 가창자 등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자동 표절 판별이 난해하다. 이러한 기존 유사성 분석 방식의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음악 유사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기반으로 적합한 오픈소스를 탐색하고, 이를... | |
최근 발간 목록 (48권 11호, 11월 2023)
Learning-Based Channel Estimation Method with Non-Orthogonal Pilots for Grant-Free Multiple Access in Massive MIMO Systems
Sojeong Park Yeongjun Kim Jonggyu Jang Hyun Jong Yang
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systems are efficient technologies that can meet the increasing need for larger user capacities and diverse requirements posed by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and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s). In particular, massive MIMO systems that employ grant-free (GF) multiple access have recently been studied, aiming to effectively satisfy the uplink transmission requirements of URLLCs. However,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channel estimation in MIMO systems relies on orthogonal pilot signals, necessitating inter-device synchronization. This limitation causes challenges in the integration of GF multiple access with massive MIMO, due to the inherent difficulty in achieving device synchronization within GF multiple acces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opose a learning-based channel estimation method in massive MIMO systems using non-orthogonal pilots. Nume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a bit error rate of less than 10-3 for scenarios with 32, 64, and 128 received antennas and 2 devices, as well as scenarios with 128 received antennas and 2 or 3 devices, at signal-to-noise ratio levels above 0 dB.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romising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ethod.
도플러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이동 휴먼 식별 기법
현유진 진영석 배지은
본 논문에서는 CW(Continuous Wave) 레이더를 이용한 휴먼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움직이는 휴먼의 경우, 수신 신호의 도플러 스펙트럼 분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가변적으로 변한다는 특징을 활용하였다. 이에 ‘현재 프레임의 산란점 개수’와 ‘연속 프레임의 산란점 개수 차이’, 그리고 ‘연속 프레임의 속도 변화량’의 3가지 특징벡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휴먼 인지/분류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안테나, RF 송수신단, 베이스밴드 단으로 구성된 24GHz CW 모듈을 활용하였다. 도로 상에서 실측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걷는 보행자와 이동 차량을 시나리오로 활용하였다. 각 시나리오 환경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안된 특징벡터 3개를 활용하여 98.2% 휴먼 인지 성능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양식–사례 연구
구자빈 이상연 박대헌 조성균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노동력 감소에 대한 해결 방안과 수산물 수요의 증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써 수산업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개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농업이나 축산업 뿐만 아니라 수산업 분야에도 규모화 및 친환경화, 생산성 향상, 유통 및 수출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과 같은ICT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양식의 도입은 장기간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및 지능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축·수산 분야에서 경제성 향상 및 생육환경의 최적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디지털 트윈을 양식 분양에 적용하여 스마트 양식을 제공하는서비스 및 개발 단계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양식장으로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가상의 순환여과식 육상양식장 에너지 모델을 개발하고, 에너지 최적 관리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현실 양식장과의데이터 연동을 통한 현장 운영 스케쥴 도출 및 수온 제어 세분화 프로세스에 따른 현장 재현율 향상을 통해 모델예측 성능을 개선한 연구 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수 논문 BLE 애드혹 망을 통한 편대비행 구현
이상연 전지훈 이강복
무인 이동체을 이용한 드론이나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통신 인프라가 설치되어있지 않거나 파괴된 재난 안전과 군사 분야에서 편대 및 군집 비행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편대 및 군집 비행으로 인명 탐색 또는 정찰 같은 임무를 한정된 자원을 가진 무인 이동체 간의 협력으로 더 넓은 지역을 탐색하거나짧은 시간 내에 임무를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신 인프라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지역 또는 통신 인프라가파괴된 재난 상황에서 안전한 편대 및 군집 비행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인 이동체 간의 통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편대비행을 위한 선도기와 추종기의 통신망으로 BLE 애드혹 망을 지원하는 BLE 통신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편대비행이 가능함을 보였다.
우수 논문 음원 분리 및 자동 채보 학습을 활용한 음악 유사성 분석 시스템 구현
구연우 이재호
기존의 음악 유사성 분석 방식은 보편적으로 모든 악기와 오디오 채널이 포함된 혼합 음악 데이터를 기반으로진행되는 특성이 있기에, 템포가 빠른 댄스 장르의 음악을 느리게 편곡하여 발라드 장르로 변경하는 등 원곡에서의 장르 혹은 가창자 등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자동 표절 판별이 난해하다. 이러한 기존 유사성 분석 방식의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음악 유사성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기반으로 적합한 오픈소스를 탐색하고, 이를 활용해 실제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오픈 소스 딥러닝 모델의 활용을 위해 음악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학습을 진행한 결과 음원 분리 모델인 Spleeter에서 SDR 5.439를, 음악 자동 채보 모델인 Omnizart vocal에서 F1-score 0.853을 달성하였다.
비 전문가를 위한 시각화 솔루션에서의 분류 모델링 서비스 구현
공동구 화재 시 대피자를 위한 피난위험 안내 서비스 구현
Improvement Measures for Aviation Security Policies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gainst Potential Cyber Threats In-Flight
Sanghoon Jeon
In light of providing in-fligh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Internet services, there is a current exposure to potential cyber threats. Given the rapidly evolving ICT technology and aviation services, it is crucial to approach aviation security policies in a balanced and systematic manner. The widening gap between advancing technology and outdated aviation security policies makes it difficult to effectively address unpredictable aviation security threats and ensure the safety of aviation services. Therefore, proactive measures such as revising aviation security policies and regulations and establishing a cyber risk management system are urgently needed.
This paper aim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responding to potential cyber threats and establishing aviation security policies and management systems to ensure safe aviation operations and navigation.
The Decoupling within the Korean Music Streaming Industry: The Growth of YouTube Music and the Downturn of MelOn
Yujun Park Seongcheol Kim
YouTube has assisted the Korean music industry by enabling the globalization of K-pop with a utilization of global audience and recommendation algorithms. YouTube and YouTube Music – a subsidiary service of itself – have not only become influential enough to represent the global media trend but have also been impeding local region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rise of YouTube Music and the downturn of local leader, Mel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precedented decoupling phenomenon in the Korean music streaming industry, exploring the factors that led to the lost momentum of local leader, MelOn, and the global player YouTube Music’s outperformance of MelOn. A mixed method, combining a business model and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over the competitiveness of each service provider.
The findings indicate that MelOn is inescapably losing consumers to the global giant owning competitiveness across multiple dimensions. The research holds practical implications to sustain the local music industry and provides an academic lens to analyze similar cases in other local industries threatened by global players.